내 생각

당나라 기생 설도의 동심초

낙산유정 2019. 2. 19. 09:44

대관령 옛길을 다녀온후, 사임당 애기를 하다보니 동심초라는 우리 가곡이 생각이 났다.당나라 여류시인 설도의

춘망사라는 시를 의역한것이 동심초 가사인데 동심초가 신사임당의 한시라고 잘못 알려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원작자인

설도가 연상이된 것이다

사임당의 한시로는 전번글에 언급한 유대관령 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 외에 사친(思親)이 유명한데
이외에 전해지는 시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사친은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유명한 시이기
때문에 한국사람들에게 상당히 익숙하다.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로 시작되는 우리의 국민 가곡 동심초는 당나라 여류시인
설도의 한시를 안서 김억이 번역한 것을 김성태 선생이 곡을 붙인 것이다.그런데 일부
인터넷과 심지어 일부 인쇄물에도 이 노래의 원작이 신사임당 한시, 김억 번역 이라고
잘못되어 있는것이 꽤 있다.일부 이긴 하지만 설도의 한시가 사임당 한시로 잘못
알려지게 된 경위를 인터넷으로 검색해 봤지만 알수가 없다. 설도와 그녀의 한시
춘망사는 수없이 인터넷에 소개되어 있는데, 아래글은 그중 낙산이 가장 마음에
드는 글을 카피 한것이다.설도와 춘망사를 한번 검색해 보시길 권한다

한시 한 편의 여러 생각·5

- 설도의 ‘춘망사春望詞’

진경환(한국전통문화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설도(薛濤; 대략 770~832)는 당대唐代의 명기名妓 겸 여류시인이다.만년에 두보杜甫의 초당으로 유명한 성도省都의 서교西郊
근방에 은거하였는데, 그곳은좋은종이의 산지였다. 설도는 심홍색의 작은 종이에 시를 써서 명사들과 교유한바,
유명한 ‘설도전薛濤箋’이 그것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설도는 다른 것으로 더 친근한 시인이다. 우선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춘망사春望詞’의 한 수를 읽어보자.
‘춘망사春望詞’는 총 4수의 5언절구인데, 시방 우리가 읽으려 하는 것은 세 번째 수이다.

風花日將老 바람에 꽃은 떨어지려 하는데
佳期猶渺渺 님 만날 기약은 아득하기만
不結同心人 한 마음이건만 맺지 못하고
空結同心草 부질없이 편지만 접어보누나

맺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심사가 절절히 묻어나고 있다. 그런데 세 번째, 네 번째 구절에 ‘結同心’이라는 말이 거듭 나타난다.
‘同心結’은 사랑하는 사이에 정표의 의미로 화초나 물건으로 만든 여러 가지 매듭이나 장식물을 총칭하기도 하지만,대개 연서戀書
곧 연애편지를 의미한다.
그런데 눈치 빠른 사람은 이미 마지막 구절의 ‘同心草’를 보고 가곡 동심초를 떠올렸을 것이다. 바로 안서 김억이 번역한 이 시에
작곡가 김성태가
곡을 붙인 노래가 바로 그것이다.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이 정도 번역이면 가히 창작이라 할 만하다. 마지막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로 해서‘동심초’가 풀이름인 줄 알고 있는 사람이 있지만, 앞서 이야기한 대로 연애편지를 의미하니,식물도감을 찾아볼 일은 아니다. 김성태는 이어 2절을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바람에 꽃이 지니 세월 덧없어
만날 날은 뜬구름 기약이 없네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김억보다는 좀 떨어지는 심상인 듯하나, 절창이기는 마찬가지다. 이 시는 김억이 살았던 같은 시대에 일본에서도 佐藤春夫(사또 하루오; 1892~1964)에 의해 번역되었다. 역시 절창이라 할 만하다.

しづ心(こころ)なく散る花に 마음 흩뜨리며 날리는 꽃잎에
なげきぞ長きわが袂(たもと) 탄식으로 기나긴 나의 소매여
情(なさけ)をつくす君をなみ 정을 다 바친 그대 가고 없어
つむや愁(うれい)のつくづくし 헛되이 뜯는구나 슬픔의 풀잎

한시 중에는 정말 절창인 노래들이 수없이 많다. 다만, 그것을 감상하기 어려운 것이 문제다. 이제 시인들과 한학자들이 손을 잡고 한시를 어두운 골방에서 불러내 새로운절창을 빚어내야 마땅하다. 김억이 한 작업(『김억한시역선』, 한국문화사, 2005)을이어가야 한다. 재능 있는 시인들이여, 가곡 <동심초>를 틀어놓고 차 한 잔 하시면서한시 살려낼 궁리를 해 보시는 것은 어떠신가?

 

'내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인명 지명의 한국어 표기  (0) 2019.07.19
안양루에 올라(2012년 11월11일 )  (0) 2019.07.19
왕의 묘호  (0) 2019.07.16
대명천지 어찌 이런일이  (0) 2012.11.16
조선후기 영남남인과 벼슬  (0) 2010.11.30